법인 사업자 등록증 발급 방법

 

법인사업자 등록은 개인사업자 등록보다 준비 절차가 조금 더 많습니다. 법인을 먼저 설립한 후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


1. 법인 설립 절차

  1. 정관 작성

    • 회사 목적, 상호, 본점 주소, 발행주식 수, 자본금, 임원 구성 등을 정리합니다.

    • 공증이 필요한 경우(자본금 10억 이상 비상장 주식회사 등)는 공증 절차 진행.

  2. 법인 등기

    • 관할 등기소에 법인 설립등기 신청

    • 필요 서류: 정관, 발기인 의사록, 이사·감사 취임승낙서, 인감신고서, 자본금 납입 증명 등

    • 등기 완료 후 법인등기부등본 발급

  3. 법인 인감도장 및 인감증명서 발급

    • 사업자등록 시 필수


2. 사업자등록 신청 (세무서)

법인 설립이 끝나면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을 신청합니다.

  • 필수 서류

    • 사업자등록신청서

    • 법인 등기부등본

    • 법인 인감증명서

    • 정관 사본

    • 임대차계약서 (사업장 임대 시)

    • 주주명부

    • 대표자 신분증 사본

    • 업종 허가·신고증 (필요 업종에 한함)

  • 신청 방법

    • 홈택스 온라인 신청 가능

    • 직접 세무서 민원실 방문 가능

  • 처리 기간

    • 보통 3~5일 이내


3. 등록 후 해야 할 일

  • 법인 명의 통장 개설

  • 세무 기장 및 신고 준비
    (법인은 개인사업자와 달리 세무신고 의무가 복잡해 보통 세무대리인을 선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4대 보험 가입 (직원 채용 시 필수)

  •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시스템 등록 (의무)


✅ 요약:

  1. 법인 설립 → 등기 → 법인등기부등본 및 인감 확보

  2. 세무서에서 사업자등록 신청

  3. 등록 후 통장 개설, 세무 기장, 4대보험 등 후속 업무 진행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기타소득과 상금 수익의 신고법 (세율, 신고요령, 유의사항)

원천징수 3.3%와 8.8% 차이 이해하기 (기타소득, 사업소득, 세금계산 기준)

기타소득 8.8% 세율의 진실 (적용기준, 환급사례, 주의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