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HAGO SmartA 10 사회보험 메뉴 활용을 위한 사업장등록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
오늘은 WEHAGO SmartA 10을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메뉴, 바로 사업장등록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특히 사회보험 업무와 관련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메뉴라서, 처음부터 정확히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쉽게 따라하실 수 있도록 단계별로 설명드릴게요. 함께 알아볼까요?
✅ 사회보험 처리를 위한 첫 걸음, '사업장등록'이란?
WEHAGO SmartA 10에서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4대 사회보험과 관련된 업무를 전산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메뉴가 제공돼요. 그런데 이 기능들을 원활하게 사용하려면 반드시 먼저 ‘사업장등록’ 메뉴를 통해 사업장 정보를 입력해야 해요.
사업장등록 메뉴는 회사의 사회보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출발점이자, 모든 관련 메뉴에 정보를 연동하기 위한 핵심 설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 사업장등록 시 필수로 알아야 할 코드 규칙
처음 메뉴를 실행하면 사업장 코드 설정을 하게 돼요. 이때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한 규칙이 있어요.
-
코드 10번 :
회사등록 메뉴에 이미 입력된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오는 코드예요.
💡 사회보험 메뉴에서 급여 데이터를 자동으로 반영하고 싶다면 꼭 10번 코드를 사용해야 해요. -
코드 99번 :
임시코드로, 사업장등록 메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해요.
(일부 사회보험 메뉴에서만 임시로 쓰이는 코드예요.) -
기타 코드 (예: 11~98) :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일반 사업장 코드예요. 단, 10번과 99번은 제외해야 해요!
✍️ 사업장등록 입력 방법
사업장등록 메뉴에서 총 세 가지 섹션을 입력해야 해요.
1️⃣ 기본사항
회사등록 메뉴에서 입력된 회사명, 사업자번호, 대표자 이름 등이 자동으로 반영돼요.
필요한 경우 담당자 연락처, 대표자 생년월일 등 인적사항을 추가로 입력해 주세요.
2️⃣ 국민/건강, 고용/산재 정보 입력
-
국민연금 사업장관리번호
-
건강보험 사업장번호
-
고용/산재보험 관리번호 등
사회보험에 실제 등록된 번호들을 입력해주는 구간이에요.
이 정보들은 향후 사회보험 신고와 직접 연결되니 정확하게 입력하는 게 중요합니다!
✅ 꼭 사업자등록증과 사회보험 가입증을 참고하세요.
3️⃣ 공동사업자 정보
공동사업 형태일 경우 배우자, 가족 등 공동사업자 정보를 입력하는 공간이에요.
관계(예: 배우자, 자녀, 형제 등)도 함께 입력해야 해요.
🛠 편리한 기능들도 활용해 보세요!
📌 회사등록 불러오기
이미 ‘회사등록’ 메뉴에 입력된 정보가 있다면,
'불러오기' 버튼을 눌러 자동으로 정보를 불러올 수 있어요.
기존에 등록된 코드 10번이 있다면 삭제 후 다시 등록도 가능합니다.
📌 단일 사업장 사용설정
회사에서 여러 사업장을 관리하지 않고 하나의 사업장만 사용할 경우,
단일 사업장 설정을 체크해두면 불필요한 메뉴 혼선을 줄일 수 있어요.
🧡 실무 팁 하나!
회사에서 4대보험 신고나 급여신고를 할 때,
사회보험 메뉴에서 사업장 정보가 누락되거나 잘못 연결되면 오류가 생기기 쉬워요.
그래서 사업장등록 메뉴는 초기에 꼭 정확히 설정하고, 변경사항이 생기면 즉시 수정해야 해요!
또한, 10번 코드는 시스템상에서도 특별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본 사업장으로 등록해 두는 것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 마무리하며...
오늘은 WEHAGO SmartA 10에서의 사업장등록 방법을 하나하나 살펴봤는데요,
처음 설정만 잘해두면 사회보험, 급여신고, 퇴직 관련 업무까지 훨씬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답니다 😊
혹시 사용 중에 헷갈리는 부분이 있으셨나요?
댓글이나 메일로 질문 남겨주시면 추가 설명도 도와드릴게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일용직 사원등록이나 급여자료 입력 방법도 다뤄볼게요.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