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HAGO SmartA10 갑근세확인서 출력하는 법! 사원별 원천징수내역 쉽게 발급하기 ✅
안녕하세요 😊
오늘은 WEHAGO SmartA10 사용자분들이 자주 찾는 기능,
바로 갑근세 납세필 증명서(갑근세 원천징수 확인서) 발급 메뉴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이 메뉴는 사원별로 원천징수된 소득세(갑근세) 납부 사실을 증명하는 공식 서류로,
은행, 관공서, 이직처 등에 제출용으로 자주 사용되는 문서예요.
급여자료입력 메뉴에 있는 월별 급여/세액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데이터만 잘 입력해두면 클릭 몇 번으로 확인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어떻게 작성하고 출력하는지 단계별로 살펴볼게요! 📝
📌 갑근세 원천징수확인서란?
갑근세 확인서는 근로자의 소득에서 원천징수된 세금을 납부했음을 증명하는 문서예요.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제출이 필요합니다.
-
이직 후 새로운 근무처에 제출 (경력증빙 목적)
-
금융기관 대출, 국세청 신고 시
-
연말정산 누락 소득 확인용
-
기타 공공기관 제출용 등
SmartA10에서는 급여자료입력 메뉴에서 월별 급여/소득세/지방소득세가 입력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불러와 갑근세 확인서를 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어요.
✅ 입력 방법 – 확인서 작성 항목
❶ 구분 (비과세 포함 여부)
-
비과세 수당 포함 여부를 선택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비과세 제외로 설정하지만, 사용 목적에 따라 포함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요.
❷ 확인서 사용 목적
-
제출 용도에 따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
예: “은행 제출용”, “재직 증명용”, “퇴사 후 경력증빙용” 등
❸ 제출처
-
제출할 기관명을 입력합니다.
예: “OO은행”, “OO세무서”,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❹ 소요 수량
-
필요로 하는 출력 수량을 입력하면, 그만큼 자동으로 출력됩니다.
여러 부가 필요한 경우 유용하죠!
❺ 신청일자 / 확인일자 / 발급번호
-
실제로 신청한 날짜와 발급 처리일자를 기록합니다.
-
발급번호는 사내 관리용으로 자유롭게 설정하거나 자동 부여 가능해요.
🛠 편리한 기능 – 실무자를 위한 단축 도구
✔ ❶ 불러오기
-
전 사원의 갑근세 확인서를 한 번에 불러와 조회 및 출력할 수 있어요.
-
대량 인쇄가 필요한 경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❷ 확인자 변경 기능
-
확인자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어요.
-
세무사
-
공인회계사
-
기타 (회사 내부 담당자 직접 입력)
-
💡 이 기능을 통해 공신력 있는 확인서로 발급이 가능하며, 공인기관 제출 시에도 신뢰도를 높일 수 있어요!
✨ 실무자 꿀팁 정리
✅ 급여자료입력 메뉴에 월별 급여 및 세액이 누락 없이 정확히 입력되어 있어야 합니다.
→ 누락된 항목이 있으면 확인서 출력 시 오류 발생할 수 있어요!
✅ 이직자가 요청한 경우, 해당 연도 전체 갑근세 내역이 필요하니 1월~퇴사월까지의 급여자료 확인 필수!
✅ 발급번호는 연번으로 관리하면 문서 관리가 훨씬 수월해요.
예: 2025-001, 2025-002 …
✅ 출력 후 반드시 담당자의 도장 또는 서명 추가
→ 공공기관 제출용은 확인자가 실제 서명한 문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요.
📄 실제 활용 예시
-
퇴직한 홍길동 사원이 국민연금 가입 이력을 증빙하려고 갑근세 확인서 발급 요청
→ SmartA10에서 성명 입력 → 급여자료 자동 연동 → 제출처: 국민연금공단, 사용목적: 가입 이력 확인용 → 출력 완료! -
대출 심사 중인 직원이 은행에 소득증빙 자료 요청
→ 구분: 비과세 포함, 제출처: OO은행, 사용목적: 소득증빙용 → 출력 완료!
💬 마무리하며
갑근세 원천징수 확인서는 작지만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핵심 문서입니다.
WEHAGO SmartA10에서는 기존에 입력한 급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 작성, 간편 출력, 다량 발급까지 지원하니 정말 편리하죠 😊
사원별 소득, 세액, 납부이력에 대한 투명한 기록 관리를 위해
오늘 소개한 갑근세 확인서 발급 기능을 적극 활용해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
실무 꿀팁이나 출력 사례도 공유해주시면 다른 사용자분들께 큰 도움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