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양도소득세 계산법 📈
"주식으로 1,000만원 벌었는데 세금이 300만원이래요"
"양도소득세가 뭐예요?"
"절세할 방법은 없을까?"
요즘 주식 투자하는 직장인이 정말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주식 수익에 대한 세금, 즉 양도소득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식 양도소득세를 완벽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양도소득세란? 🤔
개념
주식, 부동산 등을 팔아서 이득을 본 경우 내는 세금입니다.
계산식
- 양도소득세 = (판매가 - 매입가) × 세율
예시
- 삼성전자 매입가: 50,000원
- 판매가: 60,000원
- 수익: 10,000원
- 세금: 약 2,000~3,000원
세금을 내는 이유
국가 정책
- 투기 억제
- 과도한 수익 제한
- 재정 수입
주식 양도소득세 기본 📋
세율
개인이 주식 매매 시
- 20% (기본 세율)
- 소득세 15% + 지방소득세 5%
국내주식 vs 해외주식
- 국내: 20%
- 해외: 22% (추가 세금)
공제 (매년 250만원)
중요한 규칙
- 연간 250만원까지 공제
- 250만원 이하면 세금 0원
- 250만원 초과분만 과세
예시
- 수익 100만원 → 세금 0원
- 수익 300만원 → (300만-250만) × 20% = 10만원
- 수익 1,000만원 → (1,000만-250만) × 20% = 150만원
→ 매우 유리한 공제!
실전 양도소득세 계산 💰
케이스 1: 소액 수익
상황
- 매입가: 1,000만원
- 판매가: 1,100만원
- 수익: 100만원
계산
- 공제 250만원 - 수익 100만원 = 150만원 남음
- 세금: 0원 ✅
케이스 2: 중간 수익
상황
- 매입가: 1,000만원
- 판매가: 1,500만원
- 수익: 500만원
계산
- 과세소득: 500만원 - 250만원 = 250만원
- 세금: 250만원 × 20% = 50만원
실제 세율
- 50만원 ÷ 500만원 = 10% (명목 20%의 절반)
케이스 3: 큰 수익
상황
- 매입가: 1,000만원
- 판매가: 3,000만원
- 수익: 2,000만원
계산
- 과세소득: 2,000만원 - 250만원 = 1,750만원
- 세금: 1,750만원 × 20% = 350만원
실제 세율
- 350만원 ÷ 2,000만원 = 17.5% (명목 20%에 가까움)
매매 수수료와 세금 🏦
증권사 수수료
거래 시마다 발생
- 매입 수수료: 약 0.015%
- 매도 수수료: 약 0.015%
- 합계: 약 0.03% (증권사마다 다름)
계산 예
- 1,000만원 거래
- 수수료: 약 3,000~5,000원
세금과의 차이
수수료 vs 세금
- 수수료: 매번 거래 때마다
- 양도소득세: 수익날 때만 (손실나면 안 냄)
비용 처리
- 수수료를 매입가에 포함 가능
- 양도세금: 따로 계산
예시
- 주식 매입가: 1,000만원
- 매입 수수료: 2,000원
- 실제 손익분기점: 1,000만2천원
양도소득세 신고 📅
신고 시기
매년 5월 1~31일
- 전년도 주식 거래 신고
- 손실도 신고 가능 (이월)
신고 대상
신고 필수
- 수익이 250만원 초과
- 손실이 있어도 신고 가능 (이월)
신고 불필요
- 수익 250만원 이하
신고 방법
방법 1: 홈택스 (무료)
- 증권사 거래내역 자동 연계
- 매매내역 자동 계산
방법 2: 증권사 (무료)
- 증권사에서 신고 자료 제공
- 홈택스에 제출
방법 3: 세무사 (수십만원)
- 복잡한 거래 처리
- 절세 상담
손실 이월 활용 💡
손실 이월이란?
개념
- 올해 손실 → 내년에 수익과 상쇄
- 여러 해 손실을 계속 이월 가능
조건
- 손실도 신고해야 함 (안 하면 이월 불가)
- 양도소득 있는 해 이월 사용
실제 예시
1년차
- 주식 거래 손실: -200만원
- 신고: 손실 신고함
2년차
- 주식 거래 수익: 400만원
- 이월손실: -200만원 활용
- 실제 과세소득: 200만원
- 세금: (200만-250만) = 음수 → 0원
→ 손실이 수익을 모두 상쇄!
손실 신고 방법
필수 확인
- 손실액 정확히 계산
- 매매 내역서 준비
- 5월에 홈택스 신고 (수익 없어도)
- "손실금액 이월" 신청
양도소득세 절세 전략 🎯
전략 1: 연간 250만원 한도 활용
상황
- 수익이 많은 해: 일부 매매 미룸
- 연간 250만원씩 나눠서 실현
예시
- 총 수익 1,000만원
- 1년에 250만원씩 4년 나눠 실현
- 세금 0원 (매년 250만원 공제)
- vs 1년에 다 판 경우: 150만원
→ 절세: 150만원
실제 가능성
- 장기보유 주식은 가능
- 단기 수익 실현은 어려움
전략 2: 손실 종목 의도적 실현
상황
- 손실난 주식 있음
- 수익난 주식도 있음
전략
- 손실 종목 먼저 팜
- 수익 종목과 상쇄
- 세금 최소화
예시
- 수익 주식: 500만원 수익
- 손실 주식: -200만원 손실
- 손실 종목 판매 → 실제 수익 300만원
- 세금: (300만-250만) × 20% = 10만원
전략 3: 배우자와 분산
조건
- 배우자 명의로 투자
- 각각 독립적으로 계산
예시
- 남편 수익: 400만원 → 세금 30만원
- 아내 수익: 400만원 → 세금 30만원
- 합계: 세금 60만원
vs 남편 명의만:
- 수익 800만원 → 세금 110만원
→ 절세: 50만원
전략 4: 펀드·ETF 활용
상황
- 개별주식보다 소득세 낮음
- 배당금에 대해 사전징수
확인
- 펀드 수익: 과세
- ETF 수익: 주식과 동일
손실 VS 이익 실현 시점 ⏰
언제 파는 것이 유리한가?
250만원 이하 수익
- 언제 팔든 세금 0원
- 시간 낭비 말고 바로 팔기
250만원 초과 수익
- 연간 일부만 실현
- 여러 해에 분산
손실난 주식
- 연말에 정산
- 다음해 수익과 상쇄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주식으로 100만원 벌었는데 세금을 안 내도 되나요? A. 네, 250만원 공제 범위 내이므로 세금 0원입니다.
Q2. 여러 주식을 샀다 팔았는데 어떻게 계산하나요? A. 모든 거래를 합산합니다. 총 수익에서 250만원 공제.
Q3. 손실이 났는데 신고해야 하나요? A. 네, 필수입니다. 다음해 이월하려면 신고 필수.
Q4. 해외 주식도 세금을 내나요? A. 네, 22% 세금 (국내 20% + 추가 2%).
Q5. 주식으로 큰 수익을 냈는데 세금을 줄일 방법은? A. 손실 주식과 상쇄, 여러 해 분산, 배우자 분산 등.
Q6. 적자난 해도 신고하지 않으면? A. 나중에 이월하지 못합니다. 꼭 신고하세요.
Q7. 회사에 주식 수익이 들킬까요? A. 양도소득세는 회사에 통보 안 됩니다. 개인 신고입니다.
Q8. 주식을 여러 계좌에서 거래하면? A. 모두 합산됩니다. 계좌 수는 무관.
양도소득세 신고 체크리스트 ✅
신고 전에 확인하세요!
준비
✅ 모든 주식 거래 내역 확인했나?
✅ 매입가·매도가·거래일 정리했나?
✅ 손실 거래도 포함했나?
✅ 증권사 거래확인서 받았나?
계산
✅ 총 수익 계산했나?
✅ 손실 이월분 확인했나?
✅ 과세소득 계산했나?
✅ 예상 세금 계산했나?
신고
✅ 5월 30일 전에 신고했나?
✅ 홈택스 연계 확인했나?
✅ 손실 이월 신청했나? (필요시)
✅ 신고 영수증 보관했나?
마무리
주식 양도소득세는 250만원 공제가 핵심입니다. 이것만 제대로 이해해도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는 세금을 거의 내지 않습니다.
핵심 3가지:
- 250만원 공제 - 가장 중요한 규칙
- 손실 이월 - 손실도 꼭 신고하기
- 분산 전략 - 여러 해에 나눠서 실현
요즘같이 주식 투자하는 사람 많은 시대, 세금을 제대로 알고 투자하세요!
다음 글 예고
다음 시간에는 '해외주식 세금 처리'를 다룹니다. 요즘 유행하는 해외 투자, 세금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세요!
본 글은 2024년 세법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개인별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정확한 상담은 세무 전문가와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