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Youth Leap Account)의 주요 가입 조건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릴게요. (2025년 기준이며, 은행·운용기관마다 세부사항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가입 전 해당 금융기관 공고를 꼭 확인하세요.)


✅ 가입 요건

아래 4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가입 가능합니다. 

  1. 연령 조건

    •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인 청년. 

    • 단, 병역복무기간이 있는 경우 최대 6년까지 나이 산정에서 차감 가능. 

  2. 개인 소득 조건
    가입일 기준 직전 과세기간을 기반으로 아래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합니다. 

    •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인 경우 (근로소득 위주일 때) 

    • 또는 직전 과세기간의 종합소득 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 비과세소득만 있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제외되지만, 육아휴직급여 또는 군 장병급여 등이 있는 사람은 제외 대상이 아님. 

  3. 가구 소득 조건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 기준으로 본인 가구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인 경우 등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일부 자료에서는 중위소득의 180% 이하로 표기된 경우도 있으니, 가입 시점 공고 확인이 중요합니다. 

  4.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 여부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던 사람은 가입이 제한됩니다. 


💡 기타 주요 사항

  • 납입 방식: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최대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가능. 

  • 이자소득 및 정부 기여금 등 세제 혜택이 있음. 

  • 가입자는 “1인 1계좌” 원칙이 있고 유사한 청년금융상품과 중복 가입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중도해지 또는 납입 누락 시 정부 지원금 환수 또는 세제혜택 제한 등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어요.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업소득자료입력 제대로 하는 법! 소득자등록부터 원천징수 반영까지 완벽 정리 🎯

국세청 신고 시 유의사항 (사업소득, 원천징수, 세무대리인 활용)

배당소득 종합과세 기준과 절세법 (2천만 원 룰, 누진세율 회피, 포트폴리오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