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HAGO SmartA 10 사회보험 메뉴 활용을 위한 사업장등록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 오늘은 WEHAGO SmartA 10 을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메뉴, 바로 사업장등록 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특히 사회보험 업무와 관련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메뉴라서, 처음부터 정확히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쉽게 따라하실 수 있도록 단계별로 설명드릴게요. 함께 알아볼까요? ✅ 사회보험 처리를 위한 첫 걸음, '사업장등록'이란? WEHAGO SmartA 10에서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4대 사회보험과 관련된 업무 를 전산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메뉴가 제공돼요. 그런데 이 기능들을 원활하게 사용하려면 반드시 먼저 ‘사업장등록’ 메뉴를 통해 사업장 정보를 입력해야 해요. 사업장등록 메뉴는 회사의 사회보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출발점 이자, 모든 관련 메뉴에 정보를 연동하기 위한 핵심 설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 사업장등록 시 필수로 알아야 할 코드 규칙 처음 메뉴를 실행하면 사업장 코드 설정 을 하게 돼요. 이때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한 규칙이 있어요. 코드 10번 : 회사등록 메뉴에 이미 입력된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오는 코드예요. 💡 사회보험 메뉴에서 급여 데이터를 자동으로 반영하고 싶다면 꼭 10번 코드를 사용해야 해요. 코드 99번 : 임시코드로, 사업장등록 메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해요. (일부 사회보험 메뉴에서만 임시로 쓰이는 코드예요.) 기타 코드 (예: 11~98) :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일반 사업장 코드예요. 단, 10번과 99번은 제외해야 해요! ✍️ 사업장등록 입력 방법 사업장등록 메뉴에서 총 세 가지 섹션을 입력해야 해요. 1️⃣ 기본사항 회사등록 메뉴에서 입력된 회사명, 사업자번호, 대표자 이름 등이 자동으로 반영돼요. 필요한 경우 담당자 연락처, 대표자 생년월일 등 인적사항을 추가로 입력해 주세요. 2️⃣ 국민/건강, 고용/산재 정보 입력 국민연금 ...